현재 2023년 롤드컵이 종료되고, 계약기간이 끝난 선수들이 FA명단에 시시각각 오르고 있습니다. 근데 2024년 부터 LCK에 '샐러리 캡'(샐캡) 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과연 샐러리 캡이 무슨 말인지 용어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연 샐러리 캡이 무슨 말인지 용어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샐러리 캡을 도입하는 LCK
SK T1이 2023년 롤드컵에서 우승을 거머쥐게 되었습니다. 탑 제우스, 정글 오너, 미드 페이커, 바텀듀오 구마유시와 케리아가 결승전에서 웨이보 게임을 3:0으로 압살해버렸어요. T1 팬으로서 우승의 기쁨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계약기간이 끝나 FA명단에 오르게 되는 제우스, 케리아, 구마유시가 과연 재계약을 할지가 궁금해지더라구요.
그런데 2024년부터 리그오브레전드 프로 팀 계약에서도 샐러리 캡을 도입한다는 이야기를 접하고, 샐러리캡이 과연 무슨말인지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샐러리 캡 의미 (균형 지출 제도)
샐러리 캡(Salary Cap)은 스포츠 프로 리그에 적용되는 개념입니다. 스포츠의 특성상 일부 스타플레이어에 의해 팀 성적이 좌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팀 성적 뿐만이 아니라 마케팅이나 굿즈 판매 등 수익성의 측면에서도 특정 스타플레이어에게 과도한 연봉이 책정되는 경우도 많죠. 그렇다보니 각 팀에서 출혈경쟁을 하듯 일부 선수를 과도한 금액으로 영입하게 되는 부작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문제가 지속되면 능력있는 비인기 선수들은 공정하지 못한 대우를 받게 되는 경향이 커지고, 각 프로 팀들도 적자에 과도한 경쟁을 지속하게 될 수 밖에 없어요. 이렇게 프로 스포츠 팀의 팀 전체 연봉 총액에 대해 상한선을 지정한 것이 바로 샐러리 캡의 의미입니다. 만약 팀 연봉총액을 넘는 경우 사치세를 납부하게 되고 그 사치세는 다른팀이 좋은 선수들에게 더 나은 대우를 할 수 있도록 재분배 됩니다.
2. 샐러리 캡의 부작용
얼핏 생각하면 샐러리 캡 제도를 롤에도 적용하는 것이 일면 합리적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페이커 같은 1티어 선수들은 추정컨데 70억 + 기타항목을 포함해 약 100억 상당의 연봉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반면에 오너나 제우스 같은 경우 현재 기준으로 2억~5억 사이의 연봉을 받고 있죠. T1의 입장에서는 페이커 한 선수를 잡기에도 샐러리 캡의 상한선이 너무 낮습니다.
이런 경우, 부작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리그오브 레전드는 한국에서만 플레이하는 게임이 아니고 전세계적으로 팬덤이 형성되어 있는 커다란 마켓입니다. LPL(중국 리그오브레전드)측에서는 한국과 비교할 수 없는 인구수가 롤을 즐기고 또 프로팀의 팬이 되죠. 즉, 한국에서 샐러리 캡 때문에 자기 몸 값 이상의 평가를 받지 못하는 선수들이 중국 등으로 쉽게 빠져나가게 되는 환경이 되는 것입니다.
3. LCK 샐러리 캡 도입 시기와 논란
LCK는 2024년부터 샐러리캡, 즉 균형지출제도를 완전히 도입하게 됩니다. 스토브 리그인 현재 FA명단에 오른 선수들도 모두 샐러리캡을 고민하며 연봉협상에 나서게 됩니다. 이제 LCK 선수들은 1년마다 팀을 이동하는 것보다 동일한 팀에 계속해서 남아 있는 것이 더 나은 선택지가 되었습니다. 예를들어 페이커의 경우 2023년부터 3년간 T1과 장기계약을 맺었는데, 한 팀에서 3년이상 근속하게 되면 샐러리 캡의 사치세에서 30%가 감면 되게 됩니다.
사실 여태까지 LCK를 지켜본 사람으로서 선수들이 1년 이상 한 팀에 남아있는 경우가 많이 없더라구요. 그렇다보니 사실 이런 감면 혜택을 볼 사람은 누구나 예상하듯 페이커 한 사람인 상황입니다. 그래서 일부 사람들은 페이커에게 혜택을 주기위해 만든 법이 아니냐며 비난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이제 다른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LCK에도 돌고있는 돈 규모가 상당해 졌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한국농구나 야구 등에 비해서도 프로선수단의 몸값 전체 총량이 작지 않은 상황이죠. 앞으로 오래도록 LCK가 건강하게 지속되기 위해서는 샐러리 캡 도입은 어느정도 필요한 제도가 아닌지 생각하게 됩니다.